[라이노 강의/ 맥북 라이노6/ 건축 라이노 튜토리얼/ 왕초보 라이노 배우기]제 4 편 : 상자 그리기 (box)
아마 1,2,3편에서는 그냥 2D만 다루었다면 앞으로는 3D작업을 위한 내용을 다룰것이다.
그런의미에서 이번편에서는 상자 그리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할 거다.
상자 그리는건 쉽지만, 도면을 그린뒤 3D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선 꼭 필요한 작업이다.
우선 라이노를 실행한 뒤,
상자를 그리기 위해서는 아래의 사진과 같이 버튼을 찾아서 클릭하거나, 명령창에 Box 라고 입력하면 된다.
클릭후 아래와 같이 0점에 모서리를 찍어준다. 명령창에 0이라고 치면 된다.
그뒤 <3점> 버튼을 클릭한다. : 이 버튼은 길이, 너비, 높이를 각각 설정할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가로 5m 세로 13m 높이 7.5m의 상자를 아래와 같이 그린다.
여기서 잠깐, 3D 작업을 할때는 아래와 같이 <고스트> 모드로 작업하는게 편하다. 적당히 볼륨도 보이고 볼륨뒤에 숨겨진 볼륨도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반드시 <고스트>모드를 선택할 필요는 없고, 상황에 맞춰서 <음영> 모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화면 빈곳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고스트>모드를 선택할수 있는 창이 뜬다.
고스트 모드 vs 음영모드 vs 와이어프레임
1,2,3편을 봤는데 한번에 너무 많은 내용을 담아서 읽기 불편하고 필요한 정보가 한눈에 들어오는것 같지 않았다.
당장 과제 해야하는데 필요한 기능만 찾고 싶어서 시간이 없는 건축과 학생으로 빙의해서 생각해 보니,
스크롤 내리다가 빡치는줄 알았다.
그래서 이렇게 [기초]상자 그리는 방법 말고, [응용]상자 그리는 방법은 다음글에 새로 써야겠다.